기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소리 없이 혈관을 망친다! 소금 중독

이야기하나 2017. 7. 23.
반응형

소리 없이 혈관을 망친다! 소금 중독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170721



 성큼 다가온 여름! 무더운 날씨에는 땀 배출로 인해 소금을 먹어야 하지만 우리는 이미 과도한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다.

우리나라 나트륨 섭취량은 세계보건기구 하루 권장량인 2,000mg을 훌쩍 넘긴 3,871mg이다.

더위에 지쳐 찾는 음료부터 콩국수, 삼계탕 등 보양식까지 숨은 소금이 어마어마하다는데.

소금은 세포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몸속에 쌓이면 갈증, 신경과민, 고혈압은 물론, 심장에도 무리를 준다.

건강 적신호의 주범, 소금에 대한 새로운 진실부터 음식 속 숨은 소금과 건강 섭취법까지 알아보자.


■ 여름철 혈압이 잘 오르는 이유

- 수분과 미네랄의 손실로 혈액이 걸쭉해지면서 혈행이 원활하지 않는다.

- 무더위 지속, 수면장애와 불쾌지수 등의 스트레스로 인해 혈압이 상승한다.

 

▷ 여름에는 짜게 먹어야 좋다?

- 체내에 나트륨이 부족하면 삼투압조절이 어려워져 전해질 음료를 마시기도 하지만 과다한 소금섭취는 혈압을 올리는 주범이다.


▷ 한국인 밥상 속 소금의 주범 : http://tv.naver.com/v/1880675

1. 국, 찌개

- 나트륨 함량이 높은 찌개와 국

- 김치찌개 5.9g , 알탕 5.3g, 미역국 4.2g, 곰탕 3.3g


2. 면

- 칼국수 7.3g, 국수장국 5.8g, 라면 5.3g, 짬뽕 5.3g


3. 반찬

- 자반고등어구이(1토막) 3.6g, 갈치구이(1토막) 2.2g, 시금치나물(70g) 2.0g, 오징어젓갈(15g) 1.5g


4. 김치

- 나트륨 1일 권장 섭취량의 절반 이상을 김치로 섭취하고 있다.


5. 빵, 과자

- 기본적으로 밀가루 음식은 소금이 들어가는데 1회 섭취 분량 속 나트륨양이 꽤 높다.



■ 소금에 중독된 혀를 정화하라. : http://tv.naver.com/v/1880788/list/142169

- 짠맛을 섭취하면 뇌의 중추에서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분비되어 쾌락반응을 유발해 짠맛에 길들여지고 갈망하게 된다.


▷ 소금 중독 자가 진단 리스트

1. 평소 김치, 젓갈 등의 짭짤한 반찬을 좋아한다.

2. 국물을 남김없이 마신다.

3. 맛을 보기도 전에 소금, 간장을 뿌린다.

4. 싱겁게 먹으면 짠 맛이 그리워진다.

5. 싱겁게 먹으면 입맛이 없고 기운이 없다.

6. 단 음식을 먹고 나면 짠 맛이 생각난다.

- 2개 이상 해당되면 소금 중독을 의심해봐야한다.



■ 소금 줄이는 특급 비법 : http://tv.naver.com/v/1880788/list/142169

1. 소금에 중독된 혀를 정화하라.

- 소금의 짠 맛에 길들여진 미뢰가 바뀌는 기간은 12주로 싱거운 맛을 기억시켜면 소금 중독을 극복 할 수 있다.


▷ 소금 중독 극복 방법

① 1% 염분농도법 권장

- 1% 염분 : 100cc에 소금 1g, 500cc 물에 소금 한 스품 정도(4~5.5g) 넣는다.


▷ 일상생활에서 짠맛 중독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

① 적정량의 탄수화물과 함께 섭취

② 신선한 나물이나 채소 등을 자주 섭취

③ 식이섬유질이 풍부한 해조류를 섭취

④ 가공식품을 멀리하도록 노력하기


2. 우리 집 소금을 바꿔라.

- 천일염은 바닷물을 증발시켜 얻은 가공되지 않은 소금

- 죽염은 천일염을 대나무 통에 넣어 1,000~1,300℃ 이상으로 구운 소금

- 꽃소금은 천일염을 녹여 불순물을 제거한 소금

- 맛소금은 천일염에 MSG와 핵산 성분을 넣은 가공 소금


▷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한 소금 추천

① 천일염

- 짠맛과 감칠맛 약간의 단맛으로 저염식에 도움이 된다.


② 구운 소금

- 천일염을 800℃ 이상으로 구운 소금으로 유해 성분이 고온의 제거되어 유익한 미네랄이 많다.


③ 향신 소금

- 염화나트륨의 함량은 낮고 짠맛은 완화되어 나트륨 섭취를 줄인다.


3. 국물 말고 건더기! 외식 말고 집밥!

- 국물보다는 칼륨이 많이 들어간 채소 건더기 위주로 섭취하고 외식할 때는 달고 짠 음식은 피해야 한다.



■ ‘저염 식습관’ 정리해보기

1. 국물에 소금을 더 넣거나 간장에 찍어 먹지 않는다.

2. 국이나 찌개를 끓인 후 먹기 직전에 간을 한다,

3. 간식으로 과일이나, 채소, 유제품 등을 먹는다

4. 가공식품은 영양표시를 확인하여 나트륨함량이 적은 것을 선택한다

5. 천연조미료 등을 사용한다.



■ 저염 요리 레시피 : http://tv.naver.com/v/1880678/list/142169

▷ 저염 자두 물김치 만들기

- 재료 : 자두 4개, 오이 1/4개, 미나리 3줄기, 생강 1/3 쪽,

- 김칫국물 : 오렌지 1개, 굵은소금 2/3 작은 술, 식초 1/2큰 술, 물 1컵


1. 오렌지를 굵은 소금으로 깨끗이 씻어준다

2. 껍질을 벗겨 믹서에 물과 함께 곱게 간다

3. 체에 걸러 즙만 모은다

4. 자두, 미나리, 오이, 생강을 썰어준다

5. 오렌지 즙에 소금, 식초를 넣고 저어준 뒤 모든 재료를 넣는다


▷ 날콩가루 저염 된장찌개 만들기

- 재료 : 호박 100g, 홍감자 130g, 두부 160g, 자색양파 80g, 꽈리고추 5개, 건표고버섯 3개, 홍고추 1개, 된장 2큰술, 표고버섯 우린물 3컵, 천연조미료 1큰술 (멸치, 다시마, 표고버섯 가루), 날콩가루 1큰술, 다진마늘 1큰술


1. 두부는 2*2cm 크기로 깍둑썰기해서 준비하고, 호박은 은행잎 모양으로0.5cm 두께로 썰어서 준비한다.

2. 양송이, 양파, 감자도 두부와 같은 크기로 썰고, 대파, 고추는 어슷하게 썰어서 준비한다.

3. 멸치는 머리, 내장을 제거한 다음 찬 물에 넣어서 불에 올린 다음 거품이 나면 불을 끄고 건져낸다.

4. 3의 멸치 국물에 된장 풀고 호박, 양파, 마늘 넣어서 끓으면 두부, 표고버섯, 콩가루 넣어서 끓인다.

5. 4의 국에 대파, 붉은 고추, 소금 넣어서 간을 맞추고 불을 끈다.


▷ 저염 가지 냉국 만들기

- 재료 : 가지 2개, 청홍고추 1개, 실파 2줄기, 맑은 액젓 1큰술, 식초 2큰술, 다진마늘 1작은술, 물 2컵, 얼음 1컵


1. 손질한 가지를 적당한 크기로 썰어 찜기에 넣고 5~10분간 찐다

2. 고추, 실파를 송송 썰어준다

3. 물 2컵에 식초, 맑은 액젓, 다진 마늘을 넣는다

4. 한 김 식힌 가지를 넣고 고추, 실파를 넣어준다

5. 얼음을 넣어 잘 저어준다



반응형